2025/04/24 2

두유와 우유의 과학적 차이 – 단백질과 지방의 유화 구조

단백질 구조의 차이와 유화의 기초우유와 두유는 외형상 유사한 흰색 액체이지만, 그 화학적 조성과 물리적 구조는 매우 다르다. 이러한 차이는 단지 영양 성분의 차이뿐만 아니라, 조리나 가공 과정에서의 반응과 맛, 질감, 안정성에도 영향을 준다. 특히 두 식품의 단백질과 지방이 물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유화되어 분산되어 있는지가 결정적인 차이를 만들어낸다. 유화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, 일반적으로 물과 기름이 안정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.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유화제나 자연적인 유화 시스템인데, 우유와 두유는 각각 동물성 및 식물성 원료에서 유래된 단백질과 지방 구조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유화 메커니즘을 형성한다.우유의 유화 메커니즘과 미셀 구조우유는 주로 카제인(casein) 단..

꿀은 왜 오래 두어도 상하지 않을까? – 저수분과 산도의 과학

수분 활성도와 미생물 생장 억제꿀이 오랜 시간 동안 부패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는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매우 낮은 수분 활성도(water activity)에 있다. 수분 활성도란 미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자유 수분의 비율을 의미하며, 대부분의 박테리아나 곰팡이는 수분 활성도가 0.91 이상인 환경에서 활발히 자란다. 그러나 꿀의 수분 활성도는 평균적으로 약 0.5~0.6 수준에 불과하여, 일반적인 부패성 미생물들이 생존하고 번식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. 이는 꿀 속에 존재하는 당분이 자유 수분을 흡수하거나 결합하여 미생물이 이용할 수 없게 만들기 때문이다. 이러한 특징은 꿀을 오랫동안 상온에서 보관하더라도 세균이나 곰팡이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 중요한 요인이다...